성경
- 에스라 2022.04.25
- 창세기를 읽기전... 2022.01.13
- 빌립보서 1장: 1-11 2021.08.31
- 빌립보서 개요 2021.08.30
에스라
창세기를 읽기전...
창세기 어떤 관점으로 읽어볼까?
많은 사람들이 "창세기"라는 단어를 들으면 세상을 창조하는 모습을 떠올릴 것입니다.
단순 성경 역사적 사실에 집중하기 보다는 창세기또한 언약적 구속사입장에서 하나님 나라라는 주제를 생각하며 읽으면 좋을것 같아서 아래의 글을 가져왔습니다.
하나님의 창조 목적
성경은 하나님의 자기 계시서로서 언약적 구속사의 성격을 띠고 진행됩니다. 여기서 계시라 함은 창세전 영원세계에서 하나님의 기뻐하시는 뜻 가운데 수립된 영원하신 목적으로서 우주만물에 대한 작정과 계획을 성경기자들을 통해 포괄적으로 세상 역사 속에 드러내신 사실을 가리킵니다. 이 과정에서 언약을 구속의 도구로 사용하시는 것입니다. 구속사란 아담의 범죄 안에서 죄인 된 인류를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인 구속사역 안에서 당신의 백성을 구원하시고, 이들을 통해 주님의 몸된 교회 공동체를 이루시는 가운데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해 종말론적 영광을 받으시고자 세상 역사를 섭리적으로 주관해 가시는 하나님의 절대적인 사역을 가리킵니다. 그러므로 성경 전체를 우리는 하나님 나라라는 주제 하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창세기도 마찬가지입니다. 창세기는 언약적 구속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역사를 기술하고 있습니다. 특히 창세기 1-3장에 기술하고 있는 신적 언약들 곧 창조언약(창 1:28)과 아담언약(창 2:17)과 여자의 후손 언약(창 3:15)은 상호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 사실을 잘 알고 본문들을 읽을 때 창세전 하나님의 영원하신 목적으로서 삼위일체적 구속계시의 본의(엡 1:3-6)를 바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언약적 구속사의 입장에서 창세기 1-3장의 상호 연관성을 염두에 두고 본문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https://hangyulcmi.org/wordSunday/3345
빌립보서 1장: 1-11
빌립보서 개요
빌립보
알렉산더 대왕의 아버지 빌립 2세가 크레데스(Krenides)를 점령한후 자신의 이름을 붙여 설립한 도시입니다.
마케도니아의 수도격 도시입니다.
BC 42년 브루투스, 캐시우스와 시저의 죽음을 복수하고자 하는 안토니와 옥타비안의 군대가 충돌한것이 역사적인 빌립보 전쟁입니다. 그 후 빌립보시는 로마의 식민지가 되었고 안토니는 퇴역 군인 일부를 빌립보시에 정착시켰습니다. 이때 빌립보시 거주자에게 자치권을 부여함으로 로마시민권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자부심으로 가득찬 이곳에 바울이 나타난 것입니다.
빌립보 교회
빌립보는 AD52년경 사도바울이 2차 전도여행때 들렸던 곳입니다.
"마케도냐로 건나와서 우리를 도우라"(행16:9) 환상을 보고 유럽으로 건너가 처음으로 세운 교회입니다.
빌립보서
빌립보서는 바울이 작성했습니다.
빌립보서는 바울의 옥중서신중(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가장 마지막에 작성된 것으로 예상됩니다.
빌립보서의 특징적 주제는 기쁨입니다.
'성경 > 빌립소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립보서 1장: 1-11 (0) | 2021.08.31 |
---|